인삿말

설립자 소개

상설 전시

지난 전시

설립자 소개

안녕하세요. 세계장신구박물관 관장입니다.

여러분 앞에 인사드리려니 지난 50년의 온갖 사연들이 생생하게 되살아납니다. 1971년 브라질에서 시작하여 2002년 아르헨티나 대사로 마감할 때 까지 30여년을 외교관의 아내로 세계 아홉 곳에서 외지생활을 했습니다. 2-3년 씩 살았던 곳, 모두 각별하지만 1978년 처음 대면한 아프리카에서 저는 장신구의 세계에 입문하는 큰 변화를 갖게 됐습니다. 그때부터 어디를 가던 장신구를 향한 사랑과 열정이 늘 함께 했고 그 사랑이 깊어가는 만큼 제 곁에 머무는 장신구의 양도 늘어났습니다.

장신구는 가장 오래된 인류의 벗이었습니다. 수렵생활시절부터 동물의 이빨이나 뼈, 가죽, 털 등을 활용해서 장신구로 썼으니까요. 아름다워지기 위해, 생로병사의 매듭을 지으며 기댔던 정신적 위안의 수단으로, 종족이나 신분을 말해주는 신분증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비상시에는 가내 은행의 대역으로 장신구는 만들어지고 쓰였습니다.

무엇보다 많은 장인들이 예술 혼을 불사르는 대상으로 장신구를 택했습니다. 쓰이는 재료도 상아부터 금, 은, 보석에 이르기 까지 다양했고 그 속에 담긴 디자인도 어느 예술작품보다 독특해서 착용자나 바라보는 이 모두에게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더욱이 다른 예술품과는 달리 장신구는 만든 사람과 착용했던 사람의 혼이 녹아있어서 바라보는 가슴에 멍자국 같은 것이 남습니다. 장신구가 던지는 미(美)의 불도장 때문이지요.

더 나아가 장신구는 현실과 전설이 뒤엉킨 아스라한 몽환의 세계로까지 데려갑니다. 그래서인지 가끔 장신구와 착용자의 중간계(中間界)에 서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긴 세월을 품고 있는 장신구는 먼저 눈으로 보고 손으로 보고 그리고 냄새로 보다가 마지막에는 가슴에서 울리는 진동으로 교감하게 됩니다. 그러면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새로운 것, 오래된 것 일수록 가장 현대적 의미를 갖는다는 Shakespeare의 말에 공감합니다. 세계의 문화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은 제가 가슴깊이 간직해 왔던 것이 있습니다. 문화는 어느 특정인의 소유가 아니고 대중과 공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박물관 설립 의지도 이렇듯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그 과정에서나 박물관 운영에 있어서 지금도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지만 저와 함께 장신구의 세계의 풍덩 빠지는 관람객 층이 두터워지는 한, 저는 가장 행복한 박물관인으로서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 이강원 관장 소개

이강원(李康媛)은 외교관(김승영 전 주아르헨티나 대사)과 결혼, 1971년 남미 브라질에서 시작, 유럽과 아프리카, 미국을 거쳐 2002년 남미대륙에서 외교관 아내의 날개를 접을 때까지 아홉 나라에서 25년의 외지 생활을 했습니다. 세계 어디에서도 생활의 텐트를 세우고 살아야 했던 신 유목민생활의 낙수인 메모! 그 날개 짓은 네 권의 시집 <외지의 휘파람 소리>(1995), <카멜레온의 눈물>(1996), <행복 케익 레시피>(2000), <인생의 상비약>(2019)과 세 권의 에세이 <세상을 수청 드는 여자>(1998), <탱고와 게릴라>(2002), <장신구로 말하는 여자>(2017)가 되었습니다. 그중 시집 2개는 스페인어로 번역, 지금도 남미인의 가슴에서 한국정서의 푸닥거리를 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문인으로는 최초로 아르헨티나 작가협회(SADE) 정회원이 되었고, 1999년 6월 메데진(콜롬비아)국제시인 페스티발 한국대표, 2000년 3월 아바나(쿠바)국제예술제 한국대표로 참가했습니다. 알랑 드 보통이 세운 ‘인생학교’ 강사, 주요 일간지에 칼럼 쓰기와 라디오방송 고정 패널로 활동했습니다.



| 이강원 관장 약력

1970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1983 미국 Virginia Community College 영문과 수료
2003 경희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2010 벨기에와 영국에서 르네상스미술 연수
2000년 콜롬비아 문화 대훈장, 2001년 아르헨티나 쌍두 독수리 대 십자 훈장, 2016년 대통령표창, 서울시 문화상을 받았고, 한국문인협회 회원, 국제펜클럽 회원, 콜롬비아 펜클럽 회원, 아르헨티나 작가협회 회원, 한국사립박물관협회 부회장, 북촌문화포럼 운영위원, 한국박물관협회 이사, 종로구박물관협회 회장, 서울시박물관협의회 회장 역임

인삿말

World
Jewellery
Museum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5나길 2, 세계장신구박물관(03053)
T. 02.730.1610
F. 02.730.1611
wjmuseum@daum.net

©2024 WORLD JEWELLERY MUSEUM. ALL RIGHTS RESERVED